
실시: 2019. 9. 11. 공략: 등, 삼두, 이두 내가 생각하는 등근육? 초보자 시절에는 가장 재미가 붙지 않는 운동이 등이었다. 보통 등운동을 하노라고 했는데 팔만 아픈 결과가 나타났다. 등근육을 거의 쓸 경험이 없던 시절에는 등근육 사용에 익숙지 않았지만, 이내 등근육의 사용법을 터득하고 나면 등근육이 큰 근육이기 때문에 자극하는 재미에 맛이 들린다. 이렇게 재미들릴 때부터 광배근, 승모근(목덜미쪽 말고) 등이 막 자라기 시작한다. 턱걸이도 더 열심히 하게 된다. 랫풀다운 X 6세트 보통 헬스장에서 랫풀 다운이라고 말하는 기구는 위의 사진처럼 생긴 머신이다. 드물게는 하이폴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실 진짜 등근육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풀업부터 하는 게 제격이기는 한데, 왠지 풀업으로 하는 운동보..

헬스장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운동이란? 그리고 헬스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하는 운동이란 무엇일까? 개인적으로 가장 자주 봤던 헬스 운동, 그리고 자리가 빌 새 없는 기구는 "벤치프레스"가 아닐까 한다. 벤치프레스는 팔굽혀펴기의 누워서하기 + 중량치기 버전으로 큰 가슴을 가지기 위한 남자들의 로망이 투영된 운동이다. 벤치 프레스를 싫어하는 남자들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흔한 운동에서 실수하는 몇 가지 사례들이 있는데 그런 분들을 위해서 오늘은 포스팅을 해보고자 한다. 단지 자세가 아쉬운 것이라면 넘길 수 있는데, 부상을 초래하거나 불균형적인 가슴성장으로 역효과가 날 수 있으니 오늘의 포스팅은 꼭 참고해야만 할 것이다. 벤치 프레스란? 팔굽혀펴기는 땅바닥에 손을 대고 엎어져서 하..

실시: 2019. 9. 10. 공략: 가슴, 이두 주의사항 가슴운동을 할 때도 그렇고, 다른 운동을 할 때도 그렇고 나는 항상 "보디빌딩은 체조가 아니다."라는 것을 되새기며 시작한다. 동작의 완성을 위한다기보다는 동작은 온전히 자극을 최대로 끌어주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따라서 어떤 운동을 하느냐도 중요하겠지만, 온전히 그 운동에서 내가 자극을 이끌어냈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슴에서 벤치프레스를 할 때 가슴근육을 수축하고자 팔을 쭉 천장으로 뻗어서 조였는데, 다시 이완시키는 동작에서 가슴근육의 긴장을 풀었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나는 절반만 운동을 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운동을 반복한 사람과 달리 수축-이완할 때 가슴근육의 긴장을 풀지 않고 온전히 운동한 사람..

물론 체력을 증진하겠노라고 시작했던 운동이었지만, 이왕이면 근육에 대해 좀 더 많이 공부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다른 근육들은 크니까 느낌이 참 잘 와서 라운딩 숄더만 아니면 문제가 크게 없었는데, 어깨근육은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보니까 자극을 주는 것이란 정말 쉽지 않았다. 특히나 후면삼각근은 정말 국소부위여서 자극을 주기가 너무 어렵다. 처음부터 자극을 주겠다고 생각하고 자극이 왔다! 느껴지면 등에 힘을 주고 있었다. 이처럼 어깨운동은 초반에는 배우기 어려운 운동이었다는 것을 지금에서야 비로소 실감했다. 그리고 나는 그동안 어깨운동을 한 게 아니라 승모와 등운동을 했음을 …. 삼각근이란 무엇인가? 음.. 이건 나만 그렇게 오해하고 있었을지는 모르겠지만, 한때 팔이 ..

개발자로서 개발자는 하루 종일 코딩만 하면 되는 줄 알았다. 물론 그렇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하루 종일 앉아서 코딩만 하기에는 체력적으로 지치는 제약사항들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간과했던 부분이 컸던 것 같다. 학창 시절부터 프로그래밍이나 코딩에 몰입하는 것을 좋아했지, 이것들을 더 많이 해보려고 운동들을 시도해보지는 못했던 것 같다. 그저 약한 체력을 평생 끌어안고 가야 한다는 생각만을 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인가 이건 일반인에 비해서 너무 약한 체력이 아닌가 싶은 마음에 운동을 취미삼아 시작하게 되었는데 나에게 큰 이점으로 다가올지 몰랐다. 그렇다면 필자가 왜 운동을 취미로 시작하기로 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한 줄의 코딩을 더 하자! 사실 그야말로 10대 때의 나의 모습..

공부는 엉덩이로만 하라는 말이 있다. 학창 시절부터 마르고 닳도록 선생님께 들은 이야기 중 하나다. 전교 1등은 오직 엉덩이로만 공부했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공부의 질도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듣지만, 양도 받쳐줘야만 고득점이 가능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명문 대학교에 진학하여 변호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의 일화를 들어봐도 똑같다. 앉아서 공부하고, 밥 먹는 시간이 아까워서 도시락도 아닌 미음과 같은 음료를 챙겨가서 점심을 갈음하시는 분들의 이야기까지.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머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혹은 심각한 버그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항상 앉아서 일해야 한다. 지금 공부부터 프로그래밍까지 계속해서 앉아서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는데, 그렇다면 앉아서 하는 일에 문제가 있는 걸..
- Total
- Today
- Yesterday